leeum

몸의 원리를 이해, 체계적이고 심층적인 정보를 제공하는 블로그입니다.

  • 2025. 4. 5.

    by. 리움100

    목차

      왜 골반이 움직임의 핵심인가?

       

      현대인의 일상에서 골반은 쉽게 소외되는 부위처럼 여겨지지만,
      사실 우리의 몸이 어떤 움직임을 하든 골반이 동작의 시작점이자 중심축 역할을 한다.


      서 있기·걷기·앉기·뛰기 등 다양한 동작에서 골반이 정렬(alignment)과 움직임 패턴을 결정하기 때문이다.


      해부학적 관점에서 골반은 척추의 천골(sacrum)부터 장골(ilium)·치골(pubis)·좌골(ischium)까지 이어지는 크고 단단한 뼈 구조로, 위로는 허리(요추)와 이어지고 아래로는 하지(고관절·대퇴뼈 등)와 연결된다.

       

      다양한 웹 자료를 종합하면,
      골반이 중심축에서의 흐름을 이끌어내는 핵심 이유로 다음 두 가지를 꼽는다.


      첫째, 골반은 몸통과 하체가 만나는 접합부로서, 상체 무게를 하지로 전달하는 교량(bridge) 역할을 한다.


      둘째, 골반 자체가 전·후방경사(anterversion, retroversion), 좌우 회전, 측굴 등으로 미묘하게 움직일 때, 허리와 고관절, 무릎, 발목에까지 영향을 주는 ‘연쇄 반응(chain reaction)’을 일으킨다.


      특히 요추-천골(Lumbosacral) 부위가 균형 잡힌 상태인지 아닌지에 따라,
      허리가 과신전되거나 반대로 플랫해지기도 한다.


      이처럼 골반 상태가 변하면 척추 전체의 곡선과 다리의 움직임 패턴까지 바뀌게 된다.

       

      최근 웹상에서 화제가 된 한 물리치료사의 논문 리뷰에 따르면,
      골반이 5도만 전방경사(tilt)되어도 허리 기립근 근육 활성도가 10% 이상 증가해,
      장시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면 허리 통증으로 이어질 확률이 높다고 한다.


      이처럼 소소한 각도의 변화가 몸 전체에 커다란 파장을 일으키는 사례는,
      골반이 가진 ‘움직임의 스위치’ 역할을 잘 보여준다.

       

       


       

      중심축 흐름의 실체: 골반과 척추의 협응

       

      ‘중심축에서의 흐름(Center Axis Flow)’은, 웹에서 운동학 전문 블로그나 트레이너들이 언급하듯,
      코어 안정성 + 골반 정렬 + 척추 세팅을 통합적으로 묶은 개념이다.


      쉽게 말해, “몸의 중심부가 흐트러지지 않도록 안정된 상태에서,
      상·하체가 자유롭고 효율적으로 움직이는 원리”라고 볼 수 있다.


      호흡과 자세, 관절 배치가 조화롭게 어울려야만,
      필라테스나 요가, 웨이트 트레이닝 등 다양한 운동에서 다치지 않고 무리 없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스쿼트 동작을 예로 들어보면,


      중심축 흐름이 제대로 잡혀 있다면, 스쿼트 시
      골반이 뒤로 빠지고 허리가 과신전되지 않으면서, 고관절이 적절히 굴곡되어 무릎과 발목에 무리가 덜 간다.


      여기서 골반이 제대로 ‘전방경사→중립→후방경사’의 범위를 매끄럽게 관리하지 못하면,
      상체가 과도하게 앞으로 숙여지거나 무릎이 불필요하게 안쪽으로 모이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허리가 반대로 평평해지거나 반동으로 꺾이면서 요통을 유발할 수도 있다.


      즉, 골반–척추 협응이 원활해야 스쿼트의 무게가 온전히 하체로 이어지며,
      중심부(코어)가 흔들리지 않아 완성도와 안전성을 모두 확보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각종 웹세미나 자료를 보면,

       

      센터드 필라테스나 정골의학(osteopathy)에서 중시하는 골반·척추 협응 훈련이 매우 자세히 소개되는데,
      데드버그(Dead Bug), 브릿지(Bridge), 버드독(Bird Dog),

      혹은 ‘워킹 런지’ 등의 변형 동작을 통해 요추와 골반을 일정 각도에서 안정화·가동화시키는 방법이 중심이 된다.

      결국, 중심축 흐름이란 골반을 “얼마나 정교하게 회전·경사·정렬시키고,
      그 상태에서 척추가 자연스러운 S커브를 유지”하게 만드는지에 달려 있다.

       


       

      골반 움직임 패턴: 회전, 경사, 측굴

       

      골반이 단순히 앞뒤로만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회전(내·외회전), 경사(전·후방), 측굴(좌·우) 등 삼차원적 패턴을 보인다는 점도 주요 키포인트다.


      웹상 여러 해부학·운동 코치의 자료를 보면,
      “골반은 볼소켓(ball-and-socket) 형태의 고관절과 천장관절(sacroiliac joint) 등
      복합 관절이 만나는 곳이라, 회전 중심도 여러 축이 얽혀 있다”는 설명이 자주 등장한다.

       

      • 전방경사(Anterior Tilt): 장요근(iliopsoas) 긴장, 대둔근(gluteus maximus) 약화, 복부 근력 부족 등으로 골반이 앞으로 기울어지고, 허리가 과신전되는 패턴. 대표적으로 앉은 시간이 긴 사람에게 흔하다.

       

      • 후방경사(Posterior Tilt): 복부 근육이나 햄스트링이 과긴장해 골반이 뒤로 말리는 상태. 허리 곡선이 평평해져, 요추 디스크에 부담이 생길 수 있다.

       

      • 내·외회전(Internal, External Rotation): 골반 한쪽이 앞쪽으로 회전되고, 반대편은 뒤로 회전되는 식으로 균형이 틀리는 경우. 걷거나 뛸 때 양 다리의 보행 패턴이 달라지며, 무릎통증이나 엉덩이 비대칭을 유발할 수 있다.

       

       

      이외에도 한쪽 골반만 올라가거나 내려가는 측굴(Lateral Tilt) 패턴도 있다.


      발바닥 압력이 바르지 못하거나, 무릎 정렬이 비틀어지면, 골반이 좌우로 기울여진다.


      그 결과 허리나 승모근, 심지어 목까지도 틀어짐을 유발할 수 있으니,
      운동을 할 때 세세하게 점검이 필요한 영역이다.

       

      “중심축 흐름”이 제대로 유지되려면,
      단순히 ‘허리를 꼿꼿이 세운다’는 식의 생각보다,


      골반을 전·후방, 내·외회전, 측굴 방향에서 모두 중립에 가까운지 혹은
      ‘필요하다면 적극적으로 특정 근육을 동원하여(둔근·장요근 등) 적정 각도를 만든다’는 관점이 중요해진다.


      이때 코어 근육(복횡근, 골반저근, 다열근, 횡격막)도 골반 움직임을 서포트해,
      척추와 골반이 따로따로 흔들리지 않고 협응을 이뤄낸다.

       


       

       

      골반이 움직임을 이끈다: 센터드 필라테스의 중심축 이해
      브릿지 : 골반 안정 + 척추 라인 유지

       

      골반 중심축으로 삶을 바꾸는 방법

       

      골반 중심축의 개념을 웹상 많은 전문가들은 “일상 습관 교정”에 적극 응용하라고 조언한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시도들이 있다

       

      의자 앉기 습관 바꾸기

      • 골반이 과도하게 전방경사되지 않도록 의자 높이를 조정하고, 허리를 펴기보다 “골반이 중립을 유지”하도록 인지한다.
      • 1시간에 한 번씩 가볍게 일어나 골반 돌리기나 햄스트링 스트레칭 등을 통해 굳은 근육을 풀어준다.

       

      걷기·달리기 시 골반 정렬 의식

      • 골반이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좌우 회전이 균등하게 일어나는지 주의한다.
      • 요즘은 스마트워치나 달리기 앱 등을 통해 좌우 대칭성, 지면 접촉 시간 등을 확인하는 방법도 있다고 한다.

       

      홈트레이닝: 골반 안정화 운동

      • 브릿지(Bridge), 데드버그(Dead Bug), 버드독(Bird Dog)과 같은 코어 중심 운동부터 시작해,
        골반이 전·후방경사, 측굴 없이 정중앙에 놓이도록 체크.
      • 수평 거울 앞에서 천천히 스쿼트를 해보며, “골반이 한쪽으로 기울거나, 무릎이 지나치게 들어가는지” 등을 살핀다.

       

      강도 높은 운동(헬스, 크로스핏 등) 시 주의

      • 스쿼트, 데드리프트 같은 리프팅 동작에서 골반이 중립 상태+허리 곡선이 자연스러워야,
        허리 통증이나 천장관절 부상 없이 중량을 안전히 들 수 있다.
      • 골반 안정화와 코어가 준비된 후에 무거운 중량에 도전하는 것이 현명하다.

       

      결국 골반을 중심으로 한 “흐름을 잘 유지하느냐”가, 운동 능력과 일상에서의 자세·건강을 결정짓는 열쇠가 된다.


      척추와 골반이 하나의 축에서 밀접하게 연결된다는 사실을 모르면,


      “허리가 아픈데 왜 골반 운동을?”


      혹은 “무릎이 아픈데 왜 고관절 스트레칭을?” 같은 의문을 품을 수 있다.


      하지만 실제로는, 골반–척추 협응이 깨지면 허리와 무릎, 고관절 모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인지하고 종합적으로 접근해야 통증과 부상을 예방하는 데 효과적이다.

       

      “중심축에서의 흐름”이란 궁극적으로,
      몸의 심부 근육과 골반 움직임을 하나로 묶어 자연스럽고 안정된 동작을 만들어내는 과정이다.


      그 과정에서 우리는 단순히 ‘균형 잡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움직이면서 흔들리지 않는 안정성’을 기르는 목표를 지향한다.


      이는 헬스, 필라테스, 요가, 발레, 마라톤 등 다양한 운동 종목에서 일치된 결론이다.


      골반이 안정적으로 작동하는가, 척추를 필요 이상으로 구부리지 않아도 되는가,
      이 모든 질문이 우리의 일상을 더 건강하고 편안하게 만들 기회를 제시한다.